달력

4

« 2024/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2019. 6. 24. 10:30

망막색소변성증 질병정보2019. 6. 24. 10:30


야맹증을 보이는 대표적인 유전질환으로 망막을 구성하고 있는 시세포층 가운데 빛을 감지하는 기능을 하는 세포들의 급격한 퇴화로 인해, 밤에 사물을 구별하기가 힘들어지고, 눈부심, 눈 흔들림 증세가 동반되면서 점차 시야가 좁아지면서 최종적으로 시력을 잃게 되는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10세 전후 야맹증으로 시작하여 수십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하지만,유전방식,합병증의 유무에 따라 진행속도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망막색소변성증은 확실한 원인이 알려져지지 않은 유전질환으로 다양한 유전방식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성,열성,반성,돌연변이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유전되므로, 가족중 망막색소변성증 환자가 있는 경우 안과 전문의와 유전상담을 해보아야 합니다.

저녁 무렵 외출시 어려움이 있고, 밤에 조금만 조명이 어두워도 실내생활에 어려움을 호소할 경우, 특히 유년기부터 야맹증의 증세를 보이는 경우, 망막색소변성증을 의심하고 조기에 정밀 검사를 해보아야 합니다.
또한 망막색소변성이 눈에 국한된 질병인지, 전신질환의 일환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른 전신이상이 있는지에 대한 검사도 필요합니다.

망막색소변성은 유전질환인 만큼 현재까지 확실한 치료방법은 없는 상태입니다.
국내외적으로 인공망막이나 유전자 치료 등의 연구가 계속되고 있지만 임상에서 적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은 단계입니다.
하지만 병의 진행에 따라 동반되는 백내장이나 녹내장 수술 등 부분적인 치료 혹은 비타민 요법 등 병의 진행을 다소 늦추는 약물치료가 시도되고 있습니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낭염  (0) 2019.06.25
아킬레스 건염  (0) 2019.06.25
눈 떨림  (0) 2019.06.20
급성 심낭염  (0) 2019.06.17
피지낭종  (0) 2019.06.17
:
Posted by 건강텔링
2018. 1. 31. 11:19

유전성 혈관부종 질병정보2018. 1. 31. 11:19

유전성 혈관부종(Hereditary angioedema)은 체액이 혈관 밖으로 새어나감으로써 손, 발, 사지, 안면, 장관 또는 기도 내 조직들이 붓는 희귀한 유전질환입니다.

조직이 붓는 현상을 부종이라고 하며, 유전성 혈관부종에서의 부종은 가려움증을 동반하지 않고 손가락으로 눌려지지 않으며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50,000에서 150,000명 당 1명 꼴로 질환이 발생하며, 인종과 민족에 따른 질환 발병률의 차이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보고 된 바가 없습니다.
원인은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C1 억제제라는 물질의 결핍 혹은 기능 이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며, 상염색체 우성형질로 유전됩니다.

유전성 혈관부종의 특징적인 증상은 체액의 과도한 축적으로 인해 부종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며, 신체 부위 중 손, 발, 눈꺼풀과 생식기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부종은 또한 호흡기와 소화관 내의 점막에도 발생하는데 다른 이유로 생기는 혈관부종(후천적 또는 외상성) 환자에 비해 유전성 혈관부종 환자들에게서 좀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이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부종은 통증이나 가려움증을 동반하지 않으며, 약 1/3에서는 피부발진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혈관부종발작은 유아기에는 드물게 발생하며, 청소년기에 증상이 심해지고 60대에 이르면 완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유전성 혈관부종의 임상 증상들은 일반적으로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지만 기도에 부종이 생기는 경우는 예외적입니다.
즉, 목구멍(인두) 또는 성대(후두)의 부종은 통증, 삼키기 어려움(연하곤란), 말하기 어려움(발성곤란), 쌕쌕 거림(천명)을 일으키며 잠재적으로 기도폐쇄를 일으켜 사망할 수 있습니다.

소화기계(위장관)의 부종과 관련된 증상으로 오심(구역질), 구토, 급성 복통, 그리고 위장관 폐쇄 징후가 있습니다.
공장이 가장 빈번하게 침범되는데, 심한 복통과 담즙성 구토가 발생합니다.
결장에 부종이 생기는 경우 특징적으로 맑고 물 같은 설사를 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48-72시간 동안 지속됩니다.

유전성 혈관부종 환자에서의 부종은 종종 전구증상이 나타난 이후에 발생하는데 환자들은 보통 부종이 나타나기 1시간 전 쯤부터 따끔따끔한 느낌을 호소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구증상은 다양하여 어떤 환자들은 전혀 전구증상이 없기도 하고, 또 어떤 환자들은 부종이 나타나기 24시간 전부터 전구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유전성 혈관부종의 진단은 임상적 평가, 상세한 환자 문진과 혈액검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혈액검사에서는 C4, CH50, C2 감소, C1 억제제 감소 혹은 정상, C1 억제제 기능 감소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1억제제의 농도가 낮거나 떨어져 있는 경우를 제 1형 유전성 혈관부종이라 하며, C1 억제제의 농도는 정상이나 그 기능이 떨어져 있는 경우를 제 2형 유전성 혈관부종이라 합니다.

일반혈액검사 결과는 보통 정상이나 위장관계 증상이 있을 경우 백혈구 증가증이나 적혈구용적 수치의 증가를 볼 수 있습니다.

갑작스럽게 혈관부종이 발생했을 때에는 우선 증상 완화를 위해 증상 치료를 시행합니다.
일반적으로 복통을 완화하기 위하여 진통제를 투여하기도 하고 구토가 심한 경우에는 진토제를 투여합니다.
수분 섭취를 하지 못하고 체액이 과도하게 조직 밖으로 새어나가는 경우에는 혈관을 통해 수액을 보충해야 합니다.
기도 부종에 의해 호흡곤란이 나타나면 우선 산소를 공급하면서 맥박, 혈압, 호흡 등 환자의 상태 변화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만약 기도폐쇄가 나타나면 호흡을 유지하기 위하여 응급으로 기관삽관이나 기관절개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급성 혈관부종발작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된 약물치료법은 정제된 C1 억제제의 혈관 내 주입이지만 아직 승인되지 않았고, 공혈자로부터 C1 억제제 농축 제제를 얻거나 C1 억제제가 포함되어있는 신선동결혈장을 대신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환자에서는 신선동결혈장 투여에 의해 증상이 도리어 악화되는 수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에피네프린에 의해 혈관부종 증상을 일부 완화할 수 있으며,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의 투여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만약 자주 재발하는 유전성 혈관부종 환자라면 장기적인 예방치료가 필요하며, 몇 가지 약제들이 심한 증상 발작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예방적 치료약제로서 다나졸과 옥시메솔론과 같은 남성호르몬제제(안드로겐)를 장기적 보호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자 환자에게는 안드로겐 유도제인 스타노조롤이 안전하고 남성화 효과가 적은 좋은 제제입니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노 증후군  (0) 2018.02.01
엄지 발가락이 휘는 증상, 무지외반증  (0) 2018.02.01
과민성 장증후군  (0) 2018.01.29
한랭두드러기  (0) 2018.01.26
말 못 할 가려움, 항문 소양증  (0) 2018.01.26
:
Posted by 건강텔링

질환주요정보
카무라티-엥겔만 병(Camurati-Engelmann disease)(CED)은 진행성 골간 형성이상 즉, 골간이 점점 넓어지고 기형이 초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문 유전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은 뼈 통증(주로 다리), 골격계 이상, 다양한 근육들의 쇠약과 형성저하증입니다. 다리 근육의 통증과 쇠약으로 인해 뒤뚱거리며 걷는 근육병증 걸음을 보일 수 있습니다.

카무라티-엥겔만병
1922년 Camurati가 처음 이러한 증상을 가진 가족성 증례들을 보고 하였고, 이후 1929년 Engelmann이 두 번째로 증례 보고를 한 후 Engelmann 병, 골 간부 형성이상 이라는 명칭이 흔히 사용되었고 1948년 Neuhauser 등이 진행성 골간 형성이상이라는 용어를 제시하였습니다.
원인으로 TGF β-1 유전자 돌연변이가 90% 이상에서 발견되며 상염색체 우성 으로 유전됩니다. 유병률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모든 인종에서 발병하며 전 세계적으로 200여 명의 환자가 보고되었습니다.


근육, 골격, 관절 근육의 쇠약과 감소는 다리의 근위부에서 가장 현저하여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가 매우 어렵게 됩니다. 근육병증 걸음이 64%, 관절구축은 43%에서 나타납니다. 환자의 90%에서 뼈 통증이 보고되고 통증은 지속적으로 쑤시고 아리며, 특히 다리에 가장 심하며 활동, 스트레스, 추운 날씨에 종종 심해집니다. 많은 환자들이 주기적으로 심한 통증과 무기력감을 호소합니다. 환자의 52%에서 커진 골간이 만져지고, 촉진 시에 압통을 느낍니다. 뼈의 무기질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골절은 덜 일어나지만 만약 골절되었을 경우 치료 회복이 더딜 수 있습니다.
신경학적 증상으로, 두개골의 뼈 형성 과다로 인해 뇌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의 경화로 인해 신경 압박이나 신경 혈관 압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자의 38%에서 뇌신경 결함이 발생하며 이로 인한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난청(전도 난청, 감각 난청), 눈의 이상(눈 돌출, 시각 시신경 유두 부종, 눈물 흘림, 녹내장, 안구의 부분 이탈), 안면 마비입니다.
두개경화증과 뇌신경 마비
Ribbing병은 긴뼈의 경화를 보이는 질환으로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카무라티-엥겔만 병과 감별할 수 없고 대개 사춘기 이후 뼈 통증으로 시작됩니다. 이 역시 마찬가지로 TGF β-1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최근 알려져, 카무라티-엥겔만 병과 Ribbing병은 같은 질환의 표현형 변이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타 근육 골격계 침범으로 인해 다양한 정도의 척추 전만증, 척추 후만증, 척주 측만증, 외반고(펴진 넙다리 뼈), 외반슬 (안굽이 무릎), 평발, 이마뼈의 돌출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9번 염색체 장완의 13.1 부위에 존재하는 TGF β-1 유전자 돌연변이가 90% 이상에서 검출되었으며, 상염색체 우성 유전됩니다.
TGF β-1 유전자는 TGF β-1으로 불리는 단백질 형성에 관여합니다. TGFβ-1 단백은 세포의 성장과 증식, 분화, 이동, 세포 자멸사 등의 조절, 태아기의 발달, 혈관의 형성, 근육과 지방 발달, 상처의 치유, 면역 체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골격을 형성하는 조직에 풍부하게 존재하여 뼈의 성장에 관혀 합니다.
세포 내에서 TGFβ-1 단백은 활성화 신호를 받는 동안만 활성 상태로 존재하지만 TGF β-1 유전자에 돌연변이로 인해 카무라티-엥겔만 병에서는 TGFβ-1 단백이 항상 활성화 상태인 채로 유지되어 골 밀도가 증가하고 지방과 근육은 감소하여 카무라티-엥겔만 병의 증상을 나타내게 됩니다.

근위부의 근 무력을 주증상으로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긴뼈의 뼈 과다증 소견을 보입니다.
분자유전학검사를 통해 TGF β-1유전자 돌연변이를 발견함으로써 확진 및 위험성이 있는 친족의 유전적 상태 확인이 가능합니다. 환자의 90% 이상에서 유전자 염기서열결정으로 돌연변이를 검출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없는 환자의 치료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초기 진단 시 질병 정도를 알기 위해 신경학적 검사, 혈압 측정, 골격 계통의 방사선학적 평가, 혈액검사(적혈구침강속도, 일반혈액검사), 선별 청력 검사, 안과학적 평가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치료가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뼈 통증과 근 무력을 감소시키고, 보행, 운동내성, 관절의 굽힘과 구축을 개선하며 빈혈과 간과 비장의 비대 교정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Losartan은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억제제로 부정맥 치료제와 고혈압 치료제로 주로 쓰입니다. 비록 치료 결과에 대한 자료가 없지만 코르티코스테로이드에 내성이 있거나 고혈압이 동반된 환자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항 TGF β-1 효과를 가집니다.
성공적인 난청치료는 드물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내이도의 수술적 감압술은 청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두개골의 뼈 과다증에 의한 뇌신경압박이 흔히 재발하게 됩니다. 스테로이드 투여는 두개골 뼈 과다증과 뇌신경 압박을 지연시키기도 하며, 감각신경난청을 약간 개선하였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양쪽 고막 절개술을 통해 염증으로 인한 전도난청을 향상시킬 수도 있습니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선기능저하증  (0) 2013.12.23
혈우병  (0) 2013.12.23
레이노병  (0) 2013.12.11
고혈압  (0) 2013.12.10
척수암  (0) 2013.12.09
:
Posted by 건강텔링
2013. 10. 11. 10:54

윌슨병(Wilson disease) 질병정보2013. 10. 11. 10:54


질환주요정보
윌슨병(Wilson's disease 또는 hepatolenticular degeneration)은 구리대사의 이상으로 인해 주로 간과 뇌의 기저핵에 과다한 양의 구리가 축적되는 유전질환입니다. 1912년 Wilson에 의해 간경화와 신경증상의 가족력이 있는 환자가 처음 알려졌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30,000명 내지 100,000명 당 1 명의 빈도로 발생되고, 보인자율은 90명 중 1명으로 비교적 흔한 유전 질환입니다.
소량의 구리는 인체 내에서 비타민만큼 필수적입니다. 구리는 거의 모든 음식에 포함되어 있고, 건강한 사람이 체내 요구량보다 더 많은 구리를 섭취하면 필요하지 않은 구리를 배설하지만, 윌슨병 환자들은 그렇게 할 수 없으므로 문제가 발생합니다.

윌슨병
구리는 출생할 때부터 축적되며 많은 양의 구리가 간, 또는 뇌에 주로 침범하여 간염, 정신과적 또는 신경학적인 증상을 초래합니다. 환자들은 황달, 복부 팽만, 토혈, 복통의 증상을 보이며, 진전(떨림), 걷고 말하고 삼키는 데 어려움을 보입니다. 증상이 더 발전되면 우울, 공격성 등의 정신과적 문제를 나타내며, 여성의 경우는 생리불순, 불임, 유산 등이 나타냅니다.

윌슨병에서 가장 먼저 영향을 받는 장기는 간입니다. 구리가 담즙을 통해 배설되지 못하고 간세포 내 축적되어 세포손상을 일으킴으로 간경화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윌슨병환자의 50% 정도가 간에서만 손상을 받는데 이들은 대개 소아연령에 진단되는 경우입니다. 혈중 구리치가 증가하는 이유는 구리의 운반을 맡고 있는 세룰로플라스민(ceruloplasmin)이 부족하거나 없기 때문입니다.
윌슨병에서 영향을 받는 다른 장기는 대뇌 기저핵입니다. 또한 눈의 공막과 각막의 경계부에 녹갈색의 각막환(Kayser-Fleischer ring)이 나타납니다. 구리가 침착되어, 간경변증을 동반한 진행성의 만성간염, 신경학적 손상, 세뇨관 기능장애 등의 증상이 특징적입니다.
간장애가 나타나는 발병 연령은 보통 8-20세이며, 신경 증상은 12세 이전에는 잘 나타나지 않습니다. 증상이 나타난 후 치료를 계속하지 않게 되면 사망에 이르게 되며, 전격성 간부전을 보인 환자의 치사율은 70% 이상입니다.
윌슨병의 주증상은 간질환과 신경질환으로 나타나며, 정신과적인 문제를 보이기도 합니다. 15세 이전에는 주로 간질환이 나타나고, 15세 이후에는 신경증상을 보입니다. 윌슨병은 다양한 형태로 발병되며 설명하기 힘든 신경학적 이상, 정신과적 이상, 간염, 용혈 빈혈, 골격 관절 이상, 혈뇨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각막환은 신경증상을 보이는 경우의 거의 모든 환자에게서 보입니다.

윌슨병의 증상
어린 소아연령에서는 주로 간질환이 나타나며 간에 구리가 축적되어 증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보통 5세가 지나야 발병합니다. 간에 구리가 침착되면 처음에는 간 효소치만 약간 증가된 무증상적 간장의 비대를 보이나 결국은 만성활동성 간염, 간경화, 문맥압 항진증으로 진행합니다. 간혹 급성 전격성 간염으로 발병하여 급격히 혼수로 빠지면서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윌슨병의 신경계 증상은 대뇌 기저핵 손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데 사춘기 이전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 15세 이후 청소년기에 나타납니다. 대뇌 기저핵의 손상으로 구음장애, 연하장애, 무표정한 얼굴, 비정상적인 눈의 움직임, 미세 운동 장애, 근 긴장 이상, 근 긴장 이상 자세, 불안정한 보행, 무도증, 근위부 진전 등의 운동장애가 나타납니다.
정신과적 이상은 구리의 뇌에 대한 중독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과잉 행동, 불안 또는 공포, 정서불안, 감정 조절의 어려움, 조울증, 비정상적인 행동, 집중력이 떨어짐, 인성의 변화, 정신분열증의 증상이 나타나며 가장 흔한 증상은 비전형적인 행동장애입니다. 구리를 제거하는 약물 치료로 정신 증상의 호전이 있으나,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각막의 테두리를 따라 황록색의 특이한 각막환(Kayser-Fleischer ring)이 나타나는데 간질환만 있는 경우에는 없을 수도 있으나 신경증상이 있는 환자의 거의 대부분에서 관찰됩니다. 해바라기 모양의 백내장, 외사시, 야맹증 등이 올 수도 있습니다. 과량의 구리가 용혈성 빈혈을 발생시키기도 합니다.
신장기능의 이상을 가져올 수도 있으며 골격 이상, 관절통, 내분비 이상 등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윌슨병은 상염색체열성으로 유전됩니다. 일반인 가운데 90-100 명 중 1명의 빈도로 윌슨병 유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윌슨병은 구리의 흡수에 관여하는 효소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발병합니다.
이 유전자의 이상으로 간장 세포내에서 미세담도로 구리가 배출되지 못하며 또한 구리가 혈액내로 배출되지 못하여 간장세포, 적혈구, 뇌 등의 장기에 구리가 침착되어 중독증상을 나타냅니다.
진단은 임상적, 생화학적 및 분자유전학적 소견으로 할 수 있습니다. 소아나 젊은 성인에게서 만성 간 질환이나 흔치 않은 양상의 간염이 있는 경우 우선 윌슨병을 생각해봐야 합니다.
원인 불명의 급, 만성 간질환, 신경장애, 급성 용혈, 정신장애, 행동장애, 신 기능 저하 등이 있는 경우에 의심하며, 선별검사로는 혈청 세룰로플라스민이 대부분의 환아에서 감소되어 있습니다.
24시간 소변 구리 배설량으로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안과검사, 간 생검 및 산전 유전자 분석을 통해 질병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 후 약물 요법을 포함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거의 대부분의 환자는 평생 건강하고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치료를 통하여 신경 및 간손상의 진행을 막을 수 있으며 대부분의 증상과 징후를 되돌릴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는 평생 지속되어야 하며, 완전 회복 상태에서도 치료를 중단하면 1-2년 내에 비가역적인 간손상이 초래됩니다.
식이 요법으로 구리를 하루에 1㎎로 제한하여 음식물을 조절합니다. 구리가 많이 함유된 음식인 버섯, 코코아, 간, 어패류(굴, 조개), 견과류, 초콜렛, 말린 과일, 바나나, 토마토, 포도, 땅콩, 밤, 감자 등의 섭취를 제한해야 합니다.

윌슨병에서 제한해야 할 음식
치료약제는 구리흡수억제제와 구리배설 촉진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증상의 경중에 따라 선택하게 됩니다. 그 외 항산화제인 비타민 E가 윌슨병 환자에서 저하되어 있기도 합니다. 항산화제의 효과를 기대하며 사용하기도 하나 그 효과가 구체적으로 입증된 바 없습니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광암  (0) 2013.10.15
유전구형적혈구증  (0) 2013.10.14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0) 2013.10.11
리이거 증후군(Rieger`s anomaly)  (0) 2013.10.10
댄디-워커 증후군(Dandy-Walker Syndrome)  (0) 2013.10.10
:
Posted by 건강텔링
2013. 9. 5. 10:46

유전성 과당불내성 질병정보2013. 9. 5. 10:46


질환주요정보
유전성 과당 불내성(Hereditary fructose intolerance: HFI)은 과당 또는 과당 전구물질(설탕, 소르비톨, 갈색설탕)을 소화할 수 없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효소인 과당-1-인산염 알돌라아제(Fructose-1-phosphate aldolase)의 결핍으로 생기며, 결과적으로 과당-1-인산염(Fructose-1-phosphate)이 간, 신장, 소장에 축적됩니다.

유전성 과당불내성
유전성 과당 불내증은 상염색체 열성 형질로 유전되는 질환으로 태어날 때 또는 아기가 이유식을 시작할 때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 때 진단이 내려집니다. 다른 상염색체 질환과 같이 남성과 여성에게 나타나는 비율은 동일하며 약 10,000∼100,000명 중 한 명꼴로 나타나며, 국내에서는 2례의 소아 환자가 보고된 바가 있습니다.
유전성 과당 불내증 환자들은 대개 단음식과 과일을 아주 싫어하며, 과당이 들어간 음식을 섭취한 후에는 심한 복통, 구토, 그리고 저혈당 증세(어지럽고 기운 없고, 땀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시력 장애, 경련, 의식 혼미 등)를 경험합니다. 과당은 어린이들의 음식을 포함한 많은 음식물에 당류 등의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과당이 함유되지 않은 식이요법을 통해서 정상 생활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조기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이 질환을 치료하지 않을 경우 간과 신장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유전성 과당 불내성을 앓고 있는 유아의 경우 과당이 함유된 음식을 섭취할 경우 즉시 증상이 나타나며, 지속되는 구토, 성장 장애, 황달, 성장 지연이 나타나며, 때때로 의식을 잃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간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며, 종종 간경화증이 나타나고, 혈액 응고인자의 부족으로 인해 위장에 출혈이 생기는 경향을 보입니다. 혈액 내 포도당과 인의 수치가 낮아지며, 혈액과 소변에 과당의 수치가 상승됩니다.
유전성 과당 불내증을 가진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단음식과 과일을 아주 싫어하게 되며, 유아들의 경우 성장 지연이 나타나며, 영양결핍까지도 경험할 수 있지만, 지능장애는 보이지 않습니다.
유전성 과당 불내증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이라는 보고가 있으며, 원인이 되는 유전자는 9번 염색체의 긴 팔(9q22.3)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유전자에 결함이 생겨 과당-1-인산염 알돌라아제(Fructose-1-phosphate aldolase)활성에 이상이 생기며, 이로 인해 과당-1-인산염(Fructose-1-phosphate)이 간, 신장, 그리고 소장에 축적이 됩니다.
간, 신장과 소장의 손상을 피하기 위해 선천성 과당 불내증을 일찍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과당 내성 검사(Fructose tolerance test)는 정맥으로 과당을 주입한 후 환자의 증상 반응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질병 의심군에서 시행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서는 이 두 가지 검사 모두 잠재적인 위험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시행되어야 합니다.
질병의 조기 진단과 특별한 식단의 적용이 영구적인 신체손상을 막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영양 상담을 통하여 과당이 함유되어 있는 과일과 설탕을 비롯한 당류를 식단에서 제외시키고 엄격한 식이 조절을 통해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과당 불내증 환자의 경우 과당을 섭취하지 않으면 정상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무과당 식이(Fructose-free diet)를 실천해야 합니다.
또한 유전상담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유전상담은 유전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와 가족에게 해당 유전질환이 무엇인지, 질환의 증상과 경과 과정, 어떻게 유전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질환과 관련된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것을 바탕으로 환자와 가족들이 가장 적절한 대응과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파-1 항트립신 결핍증(Alpha-1 Antitrypsin Deficiency)  (0) 2013.09.06
장티푸스  (0) 2013.09.06
급성호흡기감염증  (0) 2013.09.04
궤양성대장염(궤양성 결장염)  (0) 2013.09.04
홍역  (0) 2013.09.03
:
Posted by 건강텔링
2013. 5. 7. 10:34

시트룰린혈증(Citrullinemia) 질병정보2013. 5. 7. 10:34

질환주요정보
시트룰린혈증(1형)은 argininosuccinate synthethase 라는 효소가 결핍되어 발생하는 유전질환입니다. 단백질의 대사산물인 질소에 의해 발생하는 암모니아를 간에서 요소로 합성하는 과정에 argininosuccinate synthethase 라는 효소가 결핍되면 고암모니아혈증과 고시트룰린혈증(citrullinemia)이 초래되고 아르기닌(arginine) 결핍이 동반됩니다. 이런 경우 심한 구토, 보챔, 기면, 발달지연이 동반됩니다.
진단은 고암모니아, 고시트룰린혈증을 증명함으로 가능하고 ASS1 유전자분석으로 확진이 가능합니다.
치료는 급성기에는 혈액투석으로 암모니아농도를 낮추고 장기적으로는 저단백식이와 아르기닌투여, 암모니아 전구물질을 소변으로 배설시킬 수 있는 안식향산나트륨(sodium benzoate), 페닐부티레이트(phenylbutyrate)를 투여합니다. 또한 간이식으로 완치될 수 있습니다. 예후는 고암모니아혈증에 의한 뇌손상을 예방하는데 달려 있습니다.

출생 시에는 정상으로 보이나 신생아기에 주로 수유 곤란, 기면, 구토, 보챔 등의 증상으로 시작되어 신생아 패혈증으로 진단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빈호흡, 호흡 부전, 혼수 등의 급성 증상으로 진행되어 치료하지 않을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시투룰린혈증의 증상
영아기에는 증상이 보다 경미하여 식욕 부진, 구토, 기면, 발달 지연, 행동 이상, 간비대로 나타납니다. 소아기, 성인기에는 만성 신경학적 증상으로 학습 장애, 정신 지체, 행동 장애, 혼미, 보챔, 구토 등이 나타납니다. 감염, 마취 등의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급성 뇌증으로 구토, 두통, 의식의 변화를 보이고 신경학적 결손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아직 기능을 하는 효소 활성도에 의해 다양한 증상을 보이는데 간비대, 간효소치의 증가로 인해 간 질환으로 오인되기도 합니다. 반복되는 고암모니아혈증으로 구토, 기면, 두통, 진전, 경련, 운동실조가 나타나고 정신 지체가 동반되며 뇌 영상 소견 상 대뇌 위축이 관찰됩니다. 때로는 뇌졸중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후기 발현 형은 일본에서 흔한데 이는 시트린(citrin)결핍에 의해 초래되며 고암모니아혈증과 고시트룰린혈증이 있습니다. 20세 정도까지 증상의 발현이 늦어질 수 있으며 언어 장애, 보챔, 불면증, 망상을 보이면 이상 행동, 정신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콩, 배, 땅콩 등 아르기닌이 풍부한 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시트룰린혈증은 argininosuccinate synthethase(ASS)의 결핍에 의해 발생합니다.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며 ASS1 유전자는 염색체 9번 장완 34.1 (9q34.1)에 위치하며 16개의 엑손(exon)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rgininosuccinate synthethase 시트룰린(citrulline)과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을 아르기노숙신산(argininosuccinic acid)으로 전환시킵니다. 따라서 이 효소가 결핍되면 고암모니아혈증과 고시트룰린혈증이 초래되고 아르기닌(arginine) 결핍이 동반됩니다. 돌연변이는 각 엑손(exon)에서 모두 발견되며 상당히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는데, 한국인에서는 IVS6-2A>G, G324S 및 exon15에서의 67-bp insertion 돌연변이가 흔하게 발견됩니다.

시투룰린혈증의 원인
유전양상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므로 어머니와 아버지는 보인자가 되며, 환아의 동생을 낳을 경우 1/4의 확률로 질환에 이환될 위험성을 가지며, 나머지 중 1/2은 부모와 같은 보인자가 됩니다.
혈중 암모니아와 아미노산 검사, 소변 유기산 검사를 시행하여 특징적인 소견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장 특징적인 소견인 고암모니아혈증이 심하게 나타나고 혈중 글루탐산염(glutamine), 알라닌(alanine),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농도가 증가됩니다. 오로트산(Orotic acid)의 배설이 증가되며 혈중 시트룰린(citrulline) 농도가 증가되며 혈중 아르기닌(Arginine)이 감소됩니다. 산전 진단은 양수에서 시트룰린 농도를 측정하거나 양수, 융모막 세포에서 효소 활성도를 측정합니다. ASS1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로 확진할 수 있으며 산전 진단도 가능합니다.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며, 비가역적인 뇌손상이 오기 전에 가능하면 신속히 고암모니아혈증에 대해 즉시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영아기에 급성 고암모니아혈증이 발현하면 단백질의 섭취를 중지하고 수분과 전해질, 포도당을 보충합니다.
약물 치료로 요소 회로에 충분한 오르니틴(ornithine)을 공급하기 위해 아르기닌(arginine)을 투여하고, 질소 노폐물의 배설을 위해 안식향산 나트륨(sodium benzoate)와 소디움 페닐아세테이트(sodium phenylacetate)를 투여합니다.
아르기닌은 아르기나아제(arginase) 결핍을 제외한 모든 요소 회로 대사 장애에 효과적이며 시트룰린혈증 때 특히 효과적입니다. 혈장 아르기닌을 50-200 μmol/L로 유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안식향산염은 글리신(glycine)과 결합하여 마뇨산(hippurate)를 형성하여 소변으로 배설되며, 보통 250 mg/kg/일의 용량으로 투여하나 급성 응급 상황에서는 500 mg/kg/일로 투여합니다. 주된 부작용은 오심, 구토, 보챔 등입니다.
페닐 아세트산(Phenylacetate)는 글루타민(glutamine)과 결합하여 페닐 아세틸 글루타민(phenylacetylglutamine)을 형성하여 소변으로 배설됩니다. 이들 약제는 고삼투압성이므로 정맥 주사 시 10% 포도당 30 ml/kg 정도에 희석해서 투여합니다.
페닐부티레이트(Phenylbutyrate)는 간에서 페닐아세트산(phenylacetate)으로 산화되어 글루타민(glutamine)과 결합하여 페닐 아세틸 글루타민(phenylacetylglutamine)으로 소변으로 배설됩니다.
뇌부종에 대해 만니톨(mannitol)을 투여하면 이뇨 효과로 질소 노폐물의 배설이 촉진됩니다. 그밖에 구연산(citrate)은 크레브스(Krebs) 회로의 중간 대사물을 공급하는데 식후 암모니아 상승을 억제하여 아르기노 숙신뇨증(argininosuccinic aciduria)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경련을 하는 환자에게 항경련제를 투여할 수 있는데 오르필(성분명: sodium valproate)은 투여해서는 안됩니다.
급성기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혈액투석이며 교환수혈은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복막투석은 나이든 영아나 소아, 성인에게 효과적이며 신생아에서는 만족스럽지 못합니다.
장기적인 치료로 아르기닌 400-700 mg/kg, 안식향산 나트륨(sodium benzoate) 250-500 mg/kg/일, 뷔페닐(성분명 : sodium phenylbutyrate) 450-600 mg/kg를 투여합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저단백 식이를 해야 하며 성장이 빠른 초기 영아기에는 단백량을 >2 g/kg/일, 학동 전기에는 1.2-1.5 g/kg/일, 후기 소아기에는 0.8-1 g/kg/일, 사춘기 이후에는 0.5 g/kg/일 이하로 제한합니다.
예후는 신생아기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나쁘지만, 일단 신생아기가 지나면 95% 이상에서 장기적으로 생존합니다. 후유증으로 지능저하가 심하여 12%에서만 IQ가 70 이상이며, 고암모니아혈증 기간이 길어질수록 IQ는 낮고, CT상 이상소견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밖에 뇌성마비, 간질, 시력장애 등의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교합  (0) 2013.05.08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0) 2013.05.08
연조직염과 종기  (0) 2013.05.07
마푸치증후군(Maffuccis syndrome)  (0) 2013.05.06
우울증  (0) 2013.05.03
:
Posted by 건강텔링
2013. 4. 26. 11:37

바쓰증후군(Barth Syndrome) 질병정보2013. 4. 26. 11:37

질환주요정보
바쓰 증후군은 X염색체를 통해서 어머니로부터 아들에게 질환유전자가 전달되기 때문에 남성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드문 대사성 및 신경근육성 유전질환입니다.
전형적인 경우 바쓰 증후군은 영아기 또는 초기 유아기에 심근병증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저절로 회복되는 경우도 많고, 증상이나 병의 진행이 매우 다양하여, 같은 가계내의 환자들 사이에서도 증상이 매우 다양합니다. 이 질환의 일차적 특징은 심장과 골격근의 이상(심장골격 근육병증); 세균감염 시 신체의 저항을 돕는 백혈구 수치의 감소(호중구 감소증); 저신장을 일으키는 성장 지연 등이 있습니다.
1983년에 Barth가 특징적으로 이완성 심근병증, 골격계 근육병증, 성장지연과 호중구 감소증 등의 증상을 보이는 광범위한 가계를 처음 소개하면서 알려졌습니다. 울혈성 심근병증 또는 심각한 세균 감염으로 인하여 영아기 또는 초기 유아기에 높은 사망률을 보입니다.
바쓰 증후군은 모든 인종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병원의 조사에 의하면 발생률은 신생아 200,000~400,000명 당 1명입니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서 이 질환으로 진단되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발병률이 더 높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바쓰 증후군의 증상은 선천적으로 나타나거나 영아기 혹은 초기 유아기에 나타나지만, 드물게는 어른이 될 때까지 증상이 경미하여 진단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아래의 증상 및 징후가 특징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증상의 정도는 환자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바쓰 증후군의 증상
바쓰 증후군은 X-연관 열성유전 질환으로, 원인 유전자는 X염색체의 Xq28 위치에서 유래합니다. 유전자 이상으로 인해 미토콘드리아 막에 위치한 카디오리핀(cardiolipin)의 심각한 결핍이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심근병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바쓰 증후군의 원인
바쓰 증후군은 특징적인 신체적 소견, 환자와 가족력에 대한 철저한 문진, 그리고 여러 가지 특별한 검사에 의한 임상적 평가를 기초로 보통 영아기 또는 초기 유아기에 진단됩니다.
어린 남자 아이가 원인을 알 수 없는 확장성 심근병증과 함께 호중구 감소증 그리고 성장지연와 함께 원인을 알 수 없는 근력약화 혹은 대근육발달지연 등이 있다면 바쓰 증후군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남자 아이가 원인을 알 수 없이 사망한 가족력이 있더라도 역시 의심해봐야 합니다.
확진검사로 혈중 Tetralinoleoyl cardiolipin을 측정합니다. 심근병증을 보이는 영아와 유아에게는 소변과 혈중의 3-메틸글루타코닉산과 다른 유기산에 대한 대사검사가 진단에 사용됩니다. 혈중 호중구 농도를 측정하여 호중구감소증 소견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지를 확인합니다. TAZ 유전자분석이 산전 및 출산 후 진단을 위해 시행될 수 있습니다.
바쓰 증후군은 각각의 환자에서 나타나는 특별한 증상에 맞추어 치료를 진행합니다.
심부전증을 치료하기 위해 심기능을 평가하고 이뇨제와 강심제를 투여합니다. 많은 환자들은 유아기 이후 심장기능이 향상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심장치료제 복용을 점차적으로 줄여나갈 수 있습니다.
호중구 감소증이 확진된 환자들은 세균감염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의심되는 감염에 대하여 항생제를 조기에 투여합니다. 경우에 따라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세균 감염이 반복되고 호중구 수준이 지속적으로 500 이하인 환자들에게는 골수의 백혈구 생성을 자극하는 제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 외에 환자와 가족들에게 유전상담이 시행됩니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한증  (0) 2013.04.29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MRSA) 감염증  (0) 2013.04.26
메켈 게실  (0) 2013.04.25
안종양  (0) 2013.04.24
치핵  (0) 2013.04.23
:
Posted by 건강텔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