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퇴행성 질환'에 해당되는 글 2

  1. 2019.04.03 어깨충돌증후군
  2. 2012.01.16 20, 30대에서 급증하는 목디스크 - 경추 추간판 탈출증
2019. 4. 3. 15:12

어깨충돌증후군 질병정보2019. 4. 3. 15:12


어깨충돌증후군의 기본적인 원인은 노화현상에 의한 퇴행성 질환이다.
따라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많이 나타난다.

나이가 들면서 어깨관절에 퇴행성 변화가 오게 되면 견봉(어깨의 볼록한 부분)의 크기와 모양이 변하게 되고, 주위 인대도 두꺼워지면서 충돌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반복적으로 머리위로 팔을 들어올리는 동작을 많이 한다든지, 무거운 것을 많이 들어올리는 경우, 너무 운동을 안해 회전근개가 약해진 경우에도 충돌증후군이 잘 발생하게 된다.

젊을 때는 견봉과 어깨 근육 사이의 여유가 충분하지만 나이가 들어 근력이 약해지거나 반복적으로 어깨를 사용했을 때, 외상으로 다쳤을 경우에는 견봉과 어깨 근육 사이에 마찰이 일어날 수 있고, 잦은 마찰로 인해 어깨 근육에 염증이 생기면 충돌증후군이 생기는 것이다.

감별해야 할 질환으로는 올바르지 못한 자세 및 스트레스에 의해 근육이 뭉치게 되는 근막통증후군 및 어깨 관절이 굳어 관절 가동 범위 제한 및 통증이 생기는 오십견 등이 있다.
특히 어르신들의 경우 어깨 통증이 발생하면 오십견이라 판단하고 파스를 붙이거나 찜질, 운동 등 자가치료를 하다가 치료시기를 놓쳐 고생하는 환자가 적지 않다.

어깨충돌증후군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팔을 머리 높이, 혹은 머리 위로 들 때 통증이 느껴지는 것이다.
따라서 옷을 입거나 머리를 빗을 때, 창문을 닦거나 샤워를 할 때 등 사소한 일상생활을 할 때 불편함을 겪게 된다.
가끔은 팔을 움직일 때 어깨 속에서 무언가 걸리는 듯한 소리가 나기도 하며, 특히 낮보다 밤에 통증이 더 심하게 느껴진다.

만약 조기에 어깨충돌증후군을 발견했다면 어깨 사용을 줄이거나, 간단한 운동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
충돌 증후군의 재활치료는 충돌 부위 염증 감소, 연부조직 스트레칭, 근력강화 3가지가 있다.
염증 및 통증 감소를 위한 물리치료로는 핫팩, 초음파, 전기 치료 등의 있다.
연부 조직 스트레칭은 염증이 조절되면 근육강화 운동 시작 전 시행한다.
장기간의 어깨 통증으로 인하여 정상 어깨 운동범위 내 사용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교정을 위해 필요하다.
재활치료의 효과는 환자의 연령이 41세-60세인 경우가 좋으며 61세 이상인 경우는 호전 속도가 더뎌 치료 기간이 길어지게 된다.

충돌증후군의 주사치료는 관절 내 국소 주사요법을 통해 견봉 아래 공간의 염증을 줄이는 방법이다.
스테로이드 주사는 염증이 있는 윤활낭과 회전근개의 부기를 감소시켜 견봉하 공간에서 회전근개 건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넓혀준다.
하지만 주사요법을 남용하게 되면 오히려 어깨 회전 근육을 약화시킬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앞서 기술한 보존적 치료를 약 3-6개월 시행하면 약 60-90%에서 증상이 호전된다.
그러므로 수술적 치료는 적어도 6개월간의 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을 때 시행하게 된다.
어깨충돌중후군이 지속되면 어깨 힘줄에 계속해서 무리가 가면서 결국 힘줄이 파열되는 회전근개파열이 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치료들로도 통증이 지속되면 회전근개파열 등 다른 질환이 동반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MRI 검사를 통해 정확한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검사 결과 증상이 심각하다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어깨힘줄과 충돌되는 견봉 부위를 다듬어주는 견봉성형술을 하거나 어깨힘줄이 파열된 경우, 어깨힘줄을 봉합하는 수술을 해야 한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볼 부위 통증 - 지간신경종  (0) 2019.04.09
수면마비(가위눌림)  (0) 2019.04.03
대동맥협착  (0) 2019.04.03
뇌심부자극술  (0) 2019.04.03
기관지확장증  (0) 2019.04.02
:
Posted by 건강텔링
목뼈 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하는 원반모양의 물렁뼈(디스크)가 변성되고 손상되어 신경이 들어있는 척추관으로 탈출됨으로써 신경근과 주변의 조직에 기계적, 화학적으로 나쁜 자극을 주어 목의 뒷덜미, 어깨상부, 견갑부 및 팔이 저리고, 댕기거나 아픈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원인
체질적인 원인과 함께 반복적인 나쁜 자세와 목주변을 지지하고 있는 근육의 근력과 유연성의 저하로 디스크에 생화학적, 형태학적 변화가 생긴다. 이로 인해 추간판 간격이 감소하고 관절낭 및 인대가 이완되어 분절 불안정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반응으로 목뼈의 종판의 변연부, 후관절, 구추관절 등에 비후성의 골극이 형성되면서 황인대 비후 등이 추가되어 경추간판의 퇴행성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증상
가장 흔한 초기 증상은 손의 근력 약화, 부자연스런 손놀림과 감각이상, 하지의 근력 약화로 인한 보행 장애이며 수개월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 신경근병증과는 달리 통증은 흔치 않다. 환자는 손의 세밀한 운동에 장해가 생겨서 종종 젓가락질하기가 힘들고 잘 떨어뜨리며 와이셔츠 단추 채우기가 힘들다고 호소한다.

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
경추간판 탈출증의 급성기엔 근경련과 팔의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척추 주사요법과 안정, 물리치료와 운동 치료 및 약물치료를 하게 되며, 회복되는 경우가 90%이상이다. 경부의 위치는 환자가 편안한 위치를 취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신경근 증상은 주로 굴곡시 통증이 감소되는 경우가 많다.

주사요법과 같은 적극적인 재활치료를 통해 70~90% 환자가 치료될 수 있으며, 최소 6주이상 적극적인 재활치료에도 효과가 없을 경우엔 수술을 시도하게 된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 결핵  (0) 2012.01.17
신우염 증상 및 치료.  (0) 2012.01.16
방광염 증상, 예방  (0) 2012.01.16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모낭충  (0) 2012.01.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0) 2012.01.09
:
Posted by 건강텔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