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해당되는 글 3

  1. 2019.09.23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에 도움되는 음식
  2. 2017.09.13 무릎 손상과 장애
  3. 2013.05.11 아밀로이드증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다발성 관절염을 특징으로 하는 원인 불명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며 가장 일반적인 관절 질환 중 하나입니다.
초기엔 관절 주변에 염증이 생기는 증상이지만 시간이 흐르면 관절의 파괴와 변형을 불러올 수 있으므로,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주의해야 할 질환 중 하나입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영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메가-3 지방산은 많은 효능 중 염증 반응을 감소시켜주는 효능이 있으므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에게 필요한 성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메가-3 지방산은, 몸에는 필요하지만 자체적 생산은 불가한 성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메가-3 지방산이 많이 들어있는 청어, 연어, 고등어 등의 음식물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만성으로 진행되면 골다공증이나 골연화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우유 등 칼슘함량이 높은 식품을 일정하게 섭취해야 합니다.
또한, 염증이 심해질 경우엔 단백질 필요량이 증가하므로 평소보다 식사 섭취량을 증가시켜야 합니다.
단, 통증이 심할 경우에는 식사 섭취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럴 때에는 잦은 간식 섭취로 단백질을 보충해야 합니다.

베리류 과일, 당근, 토마토, 호박, 오렌지 등 다채로운 색깔의 식품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채소와 과일에 든 색소인 플라보노이드와 카로티노이드가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하기 때문인데, 항산화 성분은 염증 수치를 떨어뜨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입니다.
또한, 현미나 보리와 같은 통곡물에도 항산화 성분인 셀렌이 들어있어 자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Posted by 건강텔링
2017. 9. 13. 08:29

무릎 손상과 장애 건강생활2017. 9. 13. 08:29


무릎이 하는 일

무릎은 신체를 안전하게 지지하며 다리를 굽히거나 펼 수 있게 해 준다.
우리가 일어서고 걷고 달리고 쭈그리고 뛰어 오르고 회전 동작 등을 할 때는 유연성과 안정성이 모두 필요하다.
신체 다른 부위는 무릎을 도와서 자신의 역할을 담당한다.


무릎에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들

직접적으로 무릎에 타격이 가해지거나 급하게 움직임으로써 무릎이 과도한 긴장 상태로 될 때

무릎의 구조 일부가 벗겨지거나 찢어져서 골관절염이 발생할 때

특정 류마티스성 질환들 즉 류마티스성 관절염이나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등도 무릎에 염증을 일으킨다.

이러한 질환들은 무릎에 영구적인 손상을 남길 수도 있다.


무릎의 관절염

무릎에 발생하는 관절염 중에서 가장 흔한 형태는 골관절염으로 무릎 안의 연골이 점차 벗겨져 나가서 생기는 질병이다.

골관절염의 치료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이용된다.

■ 통증을 줄이기 위한 약물들-아스피린이나 아세트아미노펜

■ 부종과 염증을 줄이기 위한 약물들-이부프로펜이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 움직임과 힘을 증가시키기 위한 운동

■ 체중감량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무릎에 발생하는 관절염의 다른 한 형태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에서는 무릎에 염증이 생기고 연골이 파괴된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치료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이용된다.

■ 물리치료

■ 약물

■ 무릎 치환 수술(무릎이 심하게 손상되었을 때)


연골의 손상과 질환들

연골 연화증은 무릎의 연골막이 물렁하게 될 때 발생한다.
무릎의 손상이나 과잉 사용, 근육의 약화, 무릎의 구조가 어긋나게 되는 것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무릎의 반달연골은 C자 모양으로 생긴 연골 조각으로 넓다리뼈(대퇴골)와 정강뼈(경골)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한다.
이것은 무릎에 체중이 실리면서 비틀릴 때 쉽게 손상을 입는다.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가 찢어질 수 있다.
찢어진 부분이 작다면 반달연골은 무릎의 앞과 뒤에 연결되어 있다.
만약 크게 찢어지면 연골은 실처럼 걸려서 있게 된다.
연골 손상으로 인한 장애의 심각한 정도는 찢어진 위치와 그 크기에 좌우된다.

연골 손상의 치료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이용된다.

■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

■ 근육강화를 위한 전기자극 치료

■ 심한 손상의 경우 수술


인대 손상

무릎에서 흔히 손상을 입는 두가지 인대는 앞십자인대(전방십자인대)와 뒷십자인대(후방십자인대)다.
이러한 인대들의 손상을 흔히 “염좌”라고 부르기도 한다.
앞십자인대는 갑자기 비틀리는 동작에 늘어나거나 찢어지기 쉬우며 뒷십자인대는 자동차 사고나 축구의 태클 등과 같은 직접적인 타격으로 손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안쪽곁인대(내측측부인대)와 가쪽곁인대(외측측부인대)는 무릎의 외측에서 타격이 가해질 때 손상되기 쉽다.
이러한 타격을 당하면 인대가 늘어나거나 찢어질 수 있는데 축구나 하키 등의 스포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부상이다.
인대손상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치료한다.

■ 얼음 찜질(손상을 당한 직후)로 부종을 가라앉힘

■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

■ 보조기

■ 수술(심한 손상의 경우)


건의 손상과 질환들

건의 손상 및 질환에서 중요한 3가지 유형은 다음과 같다.

■ 건염과 건파열

■ 오스굿-슐라터병

■ 장경인대(마찰) 증후군

건손상은 건염에서 건파열까지 다양하다.
건파열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주로 발생한다.

건의 과잉 사용 : 건이 낡은 고무줄처럼 늘어나고 염증이 발생한다.

넘어 지는 과정 : 허벅지 근육이 수축하면 건이 파열될 수 있다.

이러한 손상은 특히 건이 약한 고령자들에서 주로 발생한다.

'건강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 수면  (0) 2017.09.26
75세 이상 노인 26일부터 인플루엔자 무료접종 시작  (0) 2017.09.18
걷기 운동을 효과적으로 하는 법  (0) 2017.09.07
체지방이란  (0) 2017.08.18
소아의 두통  (0) 2017.08.16
:
Posted by 건강텔링
2013. 5. 11. 17:59

아밀로이드증 질병정보2013. 5. 11. 17:59

질환주요정보
아밀로이드증은 단백질의 형성과정에서 형태에 이상이 생겨 여러 장기와 조직에 섬유질이 형성되는 질환입니다. 이렇게 쌓인 단백질 덩어리는 아밀로이드(Amyloid) 침전물이라고 부르며, 아밀로이드가 쌓인 장기는 점차적으로 기능이 저하되고 결국에는 기능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정상적으로 단백질은 생성되는 비율과 같은 비율로 분해됩니다. 그러나 아밀로이드 침전물은 대단히 안정적이어서 잘 분해되지 않아 여러 장기에 침착되게 됩니다.
전신적인 아밀로이드증은 일차성 아밀로이드증, 이차성 아밀로이드증, 유전성 아밀로이드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선 일차성 아밀로이드증은 전신적인 아밀로이드증 중 가장 많이 발생하며 골수의 형질세포의 일차적인 이상으로 인해 나타납니다. 종종 다발성 골수종과 함께 발병합니다. 남성과 여성에서의 발생 비율이 유사하며, 일차성 아밀로이드증은 20대에 발병한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50세에서 65세경에 진단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에서는 해마다 약 1,200-3,200명이 새로 진단됩니다.
다음으로 이차성 아밀로이드증이 있습니다.이것은 5% 미만에서 발병하며 류마티스성 관절염등과 같은 만성적인 감염과 같은 질환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병하게 됩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외에도 건선성 관절염(Psoriatic arthritis), 만성 연소성 관절염(Chronic Juvenile arthritis), 소아에게서 나타나는 강직성 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등에서 발병율이 높으며, 결핵, 나병, 기관지 확장증, 만성 골수염, 만성 신우신염 등 만성 감염성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서도 주로 발병합니다.

또 유전성 아밀로이드증 있는데 이것은 매우 드물며 유전자의 변이에 의해 유전성으로 발병합니다. 여러 유전자의 변이를 통해 발병이 가능하지만 트란스시레틴(Transthyretin: TTR) 유전자의 변이에 의한 유전성 아밀로이드증이 가장 많습니다. 백인들에게서는 약 10만분의 1의 확률로 발생하며 증상은 30∼50대에 시작됩니다. 마지막 베타 2 미세글로불린(β2-Microglobulin)이 있으며 밀로이드증의 한 종류로 신체 대사에서 생긴 불순물과 폐기물을 제거하는 과정인 투석을 장기간 시행한 환자들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아밀로이드증
각 종류마다 증상이 다른데 일차성 아밀로이드증은 아밀로이드가 점차적으로 쌓이고 장기의 기능상실을 초래하여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주로 심장, 신장, 간, 비장, 피부, 폐, 위, 장에 침착되게 되며 호흡곤란과 피로, 발목관절의 부종, 어지러움, 체중감소, 위장관 증상, 팔다리의 감각이 둔해지며 소변에서 단백질이 빠져나오고 혀가 비대해지는 증상등이 나타납니다.
이차성 아밀로이드증은 이병의 원인이 되었던 기존 질환(류마티스성 관절염, 가족성 지중해열 등의 만성적인 감염이나 염증성 질환)에 의한 증상을 포함해 신장과 위장관의 기능이 손상됩니다. 신장기능의 손상으로 소변에서 단백뇨가 나오며 몸이 붓고 쉽게 피로해 지며 진행하여 만성 신부전으로 될 수 있습니다. 또 유전성 아밀로이드증이 있는데 가장 많이 손상되는 신체 조직은 신경, 심장, 신장, 장입니다. 가족력이 있는 유전성 아밀로이드증의 증상은 가족마다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감각이상, 어지러움, 설사 등이 나타나며 신경병증이 있는 경우 화끈거리는 듯한 통증과 더불어 발의 감각이 떨어지며 손의 감각 상실이 진행됩니다. 또한 부정맥과 심장 근육에 문제가 생기는 심근증, 유리체의 혼탁으로 눈 안에 뭔가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게 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베타 2-미세글로불린(β2-Microglobulin) 아밀로이드증은 투석을 받는 환자들에게서 주로 나타나며 뼈와 관절에 영향을 미칩니다. 초기 증상으로 손목굴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이 나타나고, 어깨 통증과 손의 건초(Tendon Sheath: 힘줄)에 염증이 생깁니다.또한 아밀로이드증은 국소적으로 기관지, 폐 실질, 방광, 피부와 눈에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우선 일차성 아밀로이드증 (AL 아밀로이드증)은 형질세포질환이 원인으로 형질세포질환에 의해 골수에서 생성되는 불안정한 단클론 면역글로불린 경쇄(monoclonal mmunoglobulin light chain)가 원섬유(fibril)를 형성하고 조직에 침착되게 됩니다.
이러한 경쇄들이 주로 심장과 신장에 침착되어, 65% 환자에서 단백뇨 및 신증후군이 발생하고 환자의 1/3 에서 심장 질환이 발생하며 사망원인의 1/2는 심장으로 인한 것입니다. 심장 질환은 주로 우심부전 양상으로서 몸이 부으며 간의 크기가 증가하지만, 양측성 심실부전으로 진행되어 운동시에 호흡곤란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다음으로 이차성 아밀로이드증(AA 아밀로이드증)은 기존에 환자가 가지고 있던 염증성 질환에 의해 발생하며 (50%에서 기존에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앓습니다.) AA 단백질의 침착에 의해 발생합니다. 명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염증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급성기 반응 물질인 혈청 아밀로이드 A로부터 AA 단백질이 합성되어 여러 조직을 침범하게 됩니다. 주로 신장을 침범하며 간과 비장의 비대를 동반하는 경우에는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또, 유전성 아밀로이드증은 한 개 또는 몇 개의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의 이상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중 트란스시레틴 아밀로이드증(Transthyretin amyloidosis: ATTR)이 가장 흔하며, 트란스시레틴을 만들어내는 유전자의 변이에 의해 발생하여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됩니다.
조기 진단은 생존율과 이후 치료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데 중요합니다. 가족력을 자세히 조사하고 진단 검사와 전문의의 문진을 통해 아밀로이드증임을 추측해 볼 수 있으나, 정확하게 진단을 내리기위해서는 근육, 뼈, 지방 조직을 이용한 조직검사에서 아밀로이드가 침착된 것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그 외 소변검사, 일번혈액, 화학검사, 심장검사 등을 통해 진단을 내릴 수도 있습니다.
아밀로이드증의 치료는 증상의 완화를 목표로 하는 대증요법(Symptomatic treatment)과 각종 부작용과 합병증을 조절하고 완화시키기 위한 지지요법(Supportive therapy)이 있습니다.
만약 심각하게 신장이 손상되었거나 장기간 투석 중일 경우에는 신장이식을 고려해 야 하며 아밀로이드증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면 이식한 신장에 아밀로이드가 다시 쌓일 가능성이 있어 신장이식은 질병 진행이 멈추었을 때 해야 예후가 좋습니다.
심장이식은 심장 기능이 심하게 손상된 환자에게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일차성 아밀로이드증의 경우에 심장 이식까지 하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결핵성 항산균 질환  (0) 2013.05.13
메이-헤글린 이상(May-Hegglin anomaly)  (0) 2013.05.13
아스파르틸글루코사민뇨(Aspartylglucosaminuria)  (0) 2013.05.09
부정교합  (0) 2013.05.08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0) 2013.05.08
:
Posted by 건강텔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