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동맥이란 목에서 뇌로 이어지는 혈관이며, 경동맥질환이란 뇌졸중의 주요 원인인 경동맥의 죽상경화증과 이로 인한 경동맥협착증 등을 말합니다. 협착, 혈관염 등으로 인해 경동맥이 좁아지면 혈액이 잘 흐르지 않게 되고 이 상태가 지속되면 뇌로 혈액이 전달되지 않아 뇌졸중의 위험이 커집니다.
경동맥질환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총경동맥과 내경동맥의 상태를 알아야 하는데 CT, MRI, 초음파검사가 그 방법입니다. 그중 접근성이 좋고 검사 검사 시간이 짧으며 안전한 초음파검사가 기본검사가 됩니다.
간단한 초음파검사만으로도 경동맥의 협착 여부, 동맥 경화 정도와 혈류 상태, 나아가 혈관 나이까지 측정할 수 있습니다.
동맥경화도의 위험이 증가하여 계속적인 혈관 감시가 필요한 고혈압, 당뇨, 대사증후군, 고지혈증 환자 그리고 뇌졸중 및 심혈관질환 환자나 그의 가족들, 고령, 흡연, 비만으로 혈관질환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는 환자, 그 외에 대비를 위해 일반 성인도 필수로 받아주면 좋습니다.
인체로 흡수된 콜레스테롤이 혈액을 타고 돌다가 혈류가 굽이치는 곳에서 혈관내벽에 침착되는데요, 그러면 대식세포나 섬유화세포들이 다시 이 콜레스테롤을 포식하기 위해 모이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염증과 섬유화가 일어나면서 경화반이 생성됩니다. 경화반은 그 자체로 경동맥의 혈류를 막아 뇌혈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 경화반이 상처가 나서 떨어지게 되면, 그대로 뇌혈관 내로 흘러 들어가 말단 뇌혈관을 막으면서 뇌경색을 발생시킵니다. 이 검사는 경동맥내의 협착과 경화반(플라크)의 유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경동맥 혈류 속도와 파형 측정을 토대로 초음파가 미치지 않는 곳의 협착 유무나 협착의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검사방법은 목을 신전시킨 채로 누워서 좌우로 고개를 돌려가며 약 10분간 검사 받습니다. 금식할 필요는 없으며, 수면 마취나 검사 전후 약물도 필요 없습니다.
'건강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레스테롤 관리 (0) | 2018.11.14 |
---|---|
대장균 (0) | 2018.11.13 |
심부근육 약하면 통증·관절염 위험 (0) | 2018.11.12 |
미세먼지, 황사 속 호흡기와 눈 건강 지키는 법 (0) | 2018.11.08 |
노로바이러스 예방 (0) | 2018.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