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충증은 장내 기생충 질환으로, 그 환자를 따로 격리하거나 환자와 접촉했다고 해서 그 사람을 따로 관리할 필요는 없는 질환입니다.
편충은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토양매개성 선충(線?; 가늘고 긴 선모양의 기생충)으로 선진국보다 후진국에서 감염률이 높은데, 5년 단위 한국인 장내 기생충 감염률 실태 조사 결과에서 65.4%(‘71), 42.0%(’76), 23.4%(‘81), 4.8%(’86), 0.2%(‘92), 0.04%(’97), 0.3%(‘’04)로 나타났습니다.
편충증은 충란에 오염된 채소, 상추 쌈, 김치, 먼지, 물, 토양, 손 등을 통해서 입으로 섭취하여 감염됩니다.

잠복기는 1개월 내지 3개월이며, 임상증상으로 소수의 편충이 감염되었을 경우에는 가벼운 위장증상 정도 이지만 많은 수 감염시에는 복통, 만성 설사, 점혈변, 빈혈, 체중감소, 드물게 직장이 항문을 통해 빠져나오는 탈항증(脫肛症)도 생깁니다.
편충은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토양매개성 선충(線?; 가늘고 긴 선모양의 기생충)으로 선진국보다 후진국에서 감염률이 높은데, 5년 단위 한국인 장내 기생충 감염률 실태 조사 결과에서 65.4%(‘71), 42.0%(’76), 23.4%(‘81), 4.8%(’86), 0.2%(‘92), 0.04%(’97), 0.3%(‘’04)로 나타났습니다.
편충증은 충란에 오염된 채소, 상추 쌈, 김치, 먼지, 물, 토양, 손 등을 통해서 입으로 섭취하여 감염됩니다.

잠복기는 1개월 내지 3개월이며, 임상증상으로 소수의 편충이 감염되었을 경우에는 가벼운 위장증상 정도 이지만 많은 수 감염시에는 복통, 만성 설사, 점혈변, 빈혈, 체중감소, 드물게 직장이 항문을 통해 빠져나오는 탈항증(脫肛症)도 생깁니다.
대변검사에서 특징적인 충란을 검출하면 확진할 수 있습니다.
알벤다졸(Albendazole) 400 mg을 1회 투여합니다.
감염자를 반드시 치료하여 전파를 방지하며,인분의 위생적 처리로 토양오염 방지하고, 손 및 채소 씻는 일 등의 개인위생이 중요합니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소상피암 (0) | 2012.12.14 |
---|---|
갑상선기능항진증 (0) | 2012.12.13 |
늘어지는 영아증후군 (0) | 2012.12.12 |
음낭수종 (0) | 2012.12.11 |
복합부위통증증후군 (type I) (0) | 2012.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