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오플록사신'에 해당되는 글 2

  1. 2013.09.25 수막구균성 수막염
  2. 2013.09.24 클라미디아 감염증
2013. 9. 25. 11:18

수막구균성 수막염 질병정보2013. 9. 25. 11:18

수막구균성 수막염 환자는 호흡기 격리를 시행하며 격리는 항생제 치료를 시작한 후부터 24시간까지 하게 됩니다. 환자의 코나 목에서 나온 분비물과 이에 오염된 물품을 소독해야 합니다.
수막구균성 수막염 환자와 접촉을 한 사람들 (환자의 가족, 동거인 또는 유아원이나 학교, 군대 등에서 접촉한 사람, 환자의 구강 분비물에 직접 노출된 의료인 등)에게는 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투여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리팜핀 10mg/kg (최대량 600mg)를 12시간 간격으로 2일간 경구 투여하며 1개월 미만의 영아는 5mg/kg을 투여합니다. 혹은 성인에서 오플록사신 400mg을 1회 경구 투여하거나 세프트리악손 250mg을 1회 근주하고 15세 미만의 소아에서는 세프트리악손 125mg을 1회 근주할 수도 있습니다.
밀접한 접촉을 한 접촉자에서는 발병여부를 관찰하여 발열 등의 초기증상이 발생할 경우 즉각적으로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아프리카 지역에서 호발 하지만 유행은 전 세계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아시아(중국, 베트남, 몽고, 사우디아라비아, 예멘)에서 지난 30년간 유행이 발생하였습니다. 유럽과 아메리카지역에서도 유행이 발생하였으나 다른 지역보다는 규모가 작았습니다.

국내에서는 매년 10여건 내외로 보고되다가 2002~2003년에 발생이 증가하였고 이후 다시 감소하고 있습니다.

2001년에서 2011년 사이 2001년 11건, 2002년 27건, 2003년 38건, 2004년 8건, 2005년 7건, 2006년 11건, 2007년 4건, 2008년 1건, 2009년 3건, 2010년 12건, 2011년 7건 보고된 수막구균성 수막염 국내 감시현황 삽화, 보건복지부/대한의학회 제공
수막구균은 비말 등의 공기매개감염, 또는 환자와 병원체보유자의 비/인두 분비물과 직접 접촉으로 전파 됩니다. 인구의 5~10%는 무증상 병원체보유자이며, 병원체 보유자는 질병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대부분의 환자들은 무증상병원체 보유자에 폭로되어 감염됩니다.
수막구균성 수막염의 고위험군으로는 학교, 군대 등의 밀집된 집단에 거주하는 자, 보체 (C5-9) 결핍 또는 프로퍼딘 (properdin) 결핍을 보이는 환자, 비장이 없는 환자, 알코올 중독증 환자 등이 있습니다.

분홍색 구형의 수막염균과 수막염균에 감염되면 인체에 나타나는 인두염, 발열, 근육통, 발진을 나타낸 수막구균성 수막염 삽화, 보건복지부/대한의학회 제공
잠복기는 2~5일로 발병 초기에는 인두염, 발열, 근육통, 전신 쇠약 등을 보입니다. 80%이상에서 주로 등이나 몸통에 발진이 동반되며 이 발진은 시간이 지나면 점상출혈 혹은 자반(피부나 점막의 출혈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붉은 점 또는 보라색 점)의 형태가 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수막구균성 패혈증이 동반되며 패혈증 발생 시 저혈압, 파종혈관내응고, 대사성 산증, 부신 출혈, 신부전, 심부전, 혼수 등을 특징으로 하는 다발성장기부전으로 급속히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막염 발생 시 두통, 구토, 고열, 의식 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며 뇌막자극징후를 보일 수 있습니다. 수막구균성 수막염은 경련, 뇌염, 뇌농양, 수두증 등 신경학적 합병증을 남기기도 합니다.
수막구균성 수막염의 진단은 혈액이나 뇌척수액에서 세균을 분리 및 배양하여 진단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라텍스 응집검사법을 통해 혈액, 뇌척수액에서 항원을 검출하여 진단할 수 있고 이런 방법은 조기 진단이 가능하나 위양성, 위음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막구균성 수막염의 뇌척수액에서는 세포(다형핵백혈구)수 증가, 단백증가, 당 감소 등이 나타납니다. 혈액에서는 적혈구침강속도(ESR), C-반응성 단백(CRP)의 증가, 백혈구의 감소 또는 증가, 혈소판감소증, 단백뇨, 혈뇨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를 위해서는 3세대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의 주사치료가 우선 고려되며 페니실린에 감수성이 있는 경우에는 페니실린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예방 백신은 아직 국내에 보급이 안 되어 있습니다. 외국의 경우 유럽에서 사용하고 있고, 중부아프리카를 여행하거나 중동 지역의 순례 여행 시 추천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경우에는 병원에서 수막구균 백신을 처방받아 희귀의약품센터에서 백신을 구입하여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증후군(Reye syndrome)  (0) 2013.09.25
수근굴(수근관) 증후군  (0) 2013.09.25
클라미디아 감염증  (0) 2013.09.24
신경섬유종증(비악성) I 형  (0) 2013.09.24
전립선암  (0) 2013.09.23
:
Posted by 건강텔링
2013. 9. 24. 11:25

클라미디아 감염증 질병정보2013. 9. 24. 11:25

클라미디아 감염은 성 접촉 및 분만 중 산도를 통해 전파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와 성 접촉 및 요도 배설물에 오염된 물품 처리를 할 경우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그리고 환자와 접촉자 모두 치료가 끝날 때까지 성 접촉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접촉자의 경우 최소한 규칙적인 성상대자는 예방적 화학요법을 실시하기를 권유하고 있으며, 치료받지 않은 감염된 어머니로부터 출생한 신생아의 경우 클라미디아 폐렴을 확인하기 위하여 생후 3주, 12주~18주에 흉부 엑스선 검사를 실시하여야 합니다.
클라미디아 감염의 역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2006년 인구 10만 명당 347.8건의 클라미디아 감염을 보고하였습니다. 특히 청소년 여성에서 24.1-27%의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남성 비임균성 요도염 환자의 25-60%에서 균이 검출되었으며, 임질환자의 4-35%에서 균이 검출되고 있습니다.국내 클라미디아 감시 현황은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클라미디아 국내 감시현황
클라미디아 감염은 성 접촉 및 분만 중 산도를 통해 전파 가능합니다.


클라미디아 감염증
클라미디아 감염의 잠복기는 1-3주 정도입니다. 증상과 징후는 임균 감염증과 유사하며, 무증상 감염을 보이기도 합니다. 남녀 모두에서 요도염, 직장염, 결막염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다발성 화농성 국소 림프선염을 가진 성병성 림프육아종(lymphogranuloma venereum)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클라미디아 감염과 동반된 국소합병증으로는 남자에서는 부고환염, 여자에서는 점액농성 자궁경부염, 급성 난관염, 바토린선염, 간주위염(perihepatitis), 골반염, 불임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드물게는 전신합병증으로서 요도염, 결막염과 수반되어 관절염이 나타나는 라이터증후군(Reiter's syndrome)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요도 면봉법(swab) 또는 요검사 검경에서 세균 배양검사 상 음성이나 백혈구를 증명하여 추정진단 가능하며, 세포배양 검사로 원인균을 동정하거나 면역학적 또는 보체결합법으로 항원을 검출, 검체에서 유전자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클라미디아 감염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조직소파상에서 세포질 내 봉입체나 기본소체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진단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는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100mg을 1일 2회 경구투여합니다. 비복합성 비뇨기 감염은 7일간, 복합성 감염(골반염, 부고환염)은 2주간, 성병성 림프육아종은 3주간 치료를 실시합니다. 기타 다른 약제로는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500 mg, 1일 4회, 7일간 경구투여), 오플록사신(ofloxacin 300 mg, 1일 2회, 7일간 경구투여), 아지스로마이신(azithromycin 1 g 1회 경구투여) 등이 있습니다.
클라미디아 감염의 예방으로는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치료할 때에는 배우자도 반드시 함께 치료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증명되거나 가능성이 있는 클라미디아 감염자에 노출된 사람은 임상적 질병의 증거가 없더라도 치료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성접촉 시 콘돔을 사용하여 예방할 수 있습니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근굴(수근관) 증후군  (0) 2013.09.25
수막구균성 수막염  (0) 2013.09.25
신경섬유종증(비악성) I 형  (0) 2013.09.24
전립선암  (0) 2013.09.23
지루 피부염  (0) 2013.09.23
:
Posted by 건강텔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