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초신경이란 뇌와 척수를 싸고 있는 연질막(pia mater) 바깥의 모든 신경 구조물이며, 뇌신경(후각 및 시각 신경은 제외), 척수신경 뿌리, 등쪽 뿌리 신경절, 말초신경 줄기 및 말단가지로 구성되며, 뇌와 척추의 메시지를 근육, 장기와 기타 신체조직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신경에 손상이나 병이 생기면 말초신경병증(peripheral neuropathy)라고 하며, 여러곳에 문제가 있는 경우 다발신경병증(polyneuropathy)이라고 한다.
말초 다발신경병증의 증상은 감각증상, 운동증상, 자율신경증상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말초 다발신경병증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원인에 따라 임상 경과, 증상, 회복 여부, 예후가 다르다.
증상
말초신경에 발생한 병적인 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증상은 감각증상, 운동증상 및 자율신경증상으로 구분되고, 감각증상과 운동증상은 다시 양성증상과 음성증상으로 나누어진다.
* 감각 증상
- 양성증상(positive symptom): 저린감각(paresthesia), 통증, 작열통
- 음성증상(negative symptom): 온도감각, 통각, 위치감각, 진동감각의 소실
* 운동 증상
- 양성증상: 근섬유다발수축(fasciculation), 근육잔떨림(myokymia), 떨림(tremor), 근경련(muscle cramp)
- 음성증상: 근위약
*자율신경증상: 기립성 저혈압, 발한장애, 동공이상, 위장관이상, 배뇨/배변이상, 성기능이상 등
치료
원인이 되는 기저질환의 치료와 함께 대증적 치료가 이루어지게 된다.
저리거나 화끈거리는 감각증상에 대해서는 삼환계 항우울제, 항경련제 같은 약이 도움이 되며, 전문가의 협동 능력을 필요로 한다.
* 당뇨(diabetes): 혈당의 수치를 정상으로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에는 증상이 더심해 질 수는 있으나 서서히 회복이 되며 특히 신경을 보호해주게 되므로 혈당조절이 필수적이다.
* 비타민 부족(Vitamin deficiency): 비타민 부족은 적절한 비타민 투여로 증세가 완화될 수 있다.
악성빈혈일 경우 비타민 섭취를 평생을 통해하여야 하며 건강식단을 꾸며야 한다.
* 약물이나 독극물 부작용: 복용하고 있는 약으로 인하여 일어날 경우 약의 복용을 중단하고, 독극물에 접촉을 피하도록 한다.
* 면역매개성, 결체조직질환관련, 종양성 등 일부 원인의 다발 말초신경병증은 가역적인 회복이 가능하다.
면역글로불린정주(IV Immunoglobulin, IVIg), 혈장분리교환술(Plasmapheresis), 스테로이드, 각종 면역억제제를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