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질환주요정보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Pelizaeus-Merzbacher disease(PMD)은 중추신경계 백질의 수초 형성 부전으로 인하여 여러 신경학적 증상을 나타내는 매우 희귀한 수단친화성 백질이영양증(sudanophilic leukodystrophy)입니다. 그 유병율은 1/400,000 정도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병의 심한 정도는 자기공명 영상이나 전기생리학적 검사 결과와는 별개로, 5세에서 10세 사이에 어느 정도의 운동 능력을 가질 수 있는가에 의해 좌우됩니다. 심한 증례에서는 어떤 운동 능력도 갖지 못한 상태에서 주로 청소년기에 누워 지내게 되어 이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가장 양호한 증례에서는 환아는 걷기나 말하기까지 가능하고 청소년기에 병이 진행하나 꽤 오래 생존이 가능합니다.
80% 이상의 남자환자들에서 X 염색체 장완에 위치한(Xq22) PLP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견됩니다.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의 임상증상은 영아기나 소아기의 초기에 나타나며, 특징적 임상 증상으로는 진자양 안진, 천명, 정신운동발달장애 또는 퇴행, 운동실조, 무정위운동, 불수의운동, 구음장애, 정신지체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움직이지 못합니다.
진자양 안진은 비교적 병의 초기인 생후 6개월에서 4세 사이, 혹은 더 이른 생후 10주경에 발견되며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의 특징적 임상증상으로 약 88%의 환아에서 나타나며 다른 백질이영양증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으므로 감별진단에 매우 중요한 소견입니다.
천명은 심한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에서 비교적 초기에 발현되는 증상이며 보통 생후 6주 이내부터 나타나는데 이는 고위 운동 신경원 또는 상부뇌간의 결손 때문인 것으로 여겨지고 심한 경우 흉골 상부 또는 흉골 하부의 견축이 발생하여 외과적 처치가 요구될 때도 있습니다.
다른 백질이영양증에서는 대부분 대두증이 나타나나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 때는 주로 소두증이 나타납니다. 간질은 없는 경우가 많으나 간질이 나타나는 경우는 조절이 어렵고 병의 초기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양한 정도의 정신지체, 지능저하가 있고 간단한 명령을 따라 할 수도 있습니다. 때로 감정의 비정상적 풍부함과 불수의적 가성연수 미소가 종종 발견됩니다. 간단한 언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정도로 언어발달이 이루어지며 구음장애, 언어완만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청각은 정상인 경우가 많으나 나쁜 경우도 있습니다.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은 80% 이상의 남자환자들에서 X 염색체 장완에 위치한(Xq22) PLP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견됩니다. 이 중 10-30%는 유전자 내의 점돌연변이를 가지며, 이 경우 더 심한 임상증상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cyte)의 감소와 proteolipid protein (PLP)의 합성장애에 의해 중추신경계 백질의 수초형성부전(dysmyelination)이 발생합니다.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의 원인
염색체 위치 표기법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임상증상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뇌 자기공명영상을 포함한 다른 검사 소견을 참고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펠리제우스-메르츠바하병의 진단
이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2가지 기준을 만족해야 합니다.
유전자 진단은 PLP1 유전자의 중복이나 결손 등의 복제 수 변화를 FISH, MLPA, 정량 PCR등의 방법으로 발견하거나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점돌연변이를 밝힐 수 있습니다. 중복이나 결손에 대한 유전자 검사시 환자의 50%-60%,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환자의 15%-25%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전자 진단은 질환의 확진, 보인자 및 산전진단에 이용됩니다.
신경학적 치료 뿐 아닌 재활의학, 정형외과학, 내과적으로 다각적인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다발성 경화증 때 신경전도이상을 개선하는데 사용하는 나트륨통로차단제인 digitalis를 써 보는 것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digitalis의 사용으로 구음장애와 인지능력은 개선되었으나 하지의 강직성 수축, 상지의 무정위운동, 운동실조로 인한 운동장애는 개선되지 않았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경련이 동반된 경우 항경련제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카바마제핀 (carbamazepine)과 같은 항경련제에 치료 반응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아뇌종양  (0) 2013.07.30
어깨종아리 근디스트로피  (0) 2013.07.30
공수병  (0) 2013.07.29
피부경화증  (0) 2013.07.26
조로증  (0) 2013.07.26
:
Posted by 건강텔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