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4/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2018. 3. 12. 09:13

중풍에 의한 반신마비 질병정보2018. 3. 12. 09:13

중풍은 뇌혈관의 질환으로 인해 뇌조직이 손상을 입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위험 인자는 고혈압, 당뇨, 심장 질환, 흡연, 고지질혈증, 비만 등입니다.

중풍은 크게 혈관이 막혀서 혈액 공급이 안되는 뇌경색과 출혈로 인해 혈액 공급이 안되는 뇌출혈로 나누어집니다.
뇌경색은 뇌의 혈관분포를 따라 생길 수 있으나 주로 중뇌동맥이나 심부 뇌조직에 생겨서 증상을 나타냅니다.
뇌출혈은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초기 사망률도 높습니다.

중풍의 증상은 손상받은 뇌의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반신마비나 전신마비와 같은 근력 약화와 감각 이상, 인지 기능 저하, 언어 기능 저하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중풍의 진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병력의 청취와 방사선학적 검사입니다.
이것으로 중풍의 종류를 진단하고 치료 방침을 정하게 됩니다.

중풍의 치료에서 발병 초기에는 신경과나 신경외과에서 치료를 받게 됩니다.
약물치료나 수술로 뇌혈관의 병변에 대한 치료를 시행합니다.
그 후 혈압이나 맥박이 정상으로 돌아오고 내과적 합병증이 없게 되면 재활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중풍의 재활치료는 포괄적 치료로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보조기 처방, 오락치료, 직업 재활치료, 심리치료 등이 포함됩니다.
이런 치료를 통해 환자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중풍의 예방은 중풍 발생의 위험 인자가 되는 질병의 조기 진단과 적절한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또한 이런 모든 원인과 관련이 있는 스트레스를 없애는 것도 중풍예방에 중요합니다.

반신마비의 주증상은 편측의 안면, 팔, 다리 운동 기능의 저하입니다.
그 외 감각 기능, 인지 기능, 언어 기능 등의 장애가 나타납니다.

근력 약화

중풍으로 인한 반신마비의 가장 뚜렷한 증상은 편측 팔, 다리의 근력 약화입니다.
중풍 후 초기에는 모든 뇌의 기능과 운동 기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때는 마비된 근육의 힘이 전혀 없는 상태이나, 약 2일이 지나면서부터 근육의 긴장도가 증가하기 시작합니다.


경직

발병 후 며칠이 지나면서 마비된 근육에 경직이 나타나게 되면 건반사가 항진되어 진찰 망치로 무릎 밑을 치게 되면 무릎이 펴지는 신전반사가 과도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경직은 근육을 움직일 때 주위의 근육도 함께 수축되어 근육의 긴장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경직이 지속되는 경우 관절이 굳게 됩니다.


보행 이상

중풍으로 인한 반신마비 환자의 보행은 하지에서 발목이 아래로 뻗치고, 발이 바깥으로 돌아가고 무릎이 구부러지지 않아 뻗뻗하게 걷게 되고 상지에서는 팔의 굴곡이 증가하여 손을 쥐고 팔을 구부리고 걷는 특징적인 보행 이상을 보이게 됩니다.
이런 이상 보행은 경직이 증가되어 생기게 됩니다.


감각기능의 저하

감각 기능의 저하는 근력 약화가 있는 부위를 따라 나타납니다.
시상(thalamus)의 병변일 때 감각기능의 저하가 가장 심하게 나타납니다.
두정엽(parietal lobe)의 병변일 때는 감각 기능은 있지만 들어온 감각 자극을 인식하는 데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균형(balance), 협응 운동(coordination), 자세(posture)의 이상

반신마비 환자에서 균형 감각의 저하는 운동 기능과 감각 기능의 저하, 소뇌의 병변, 전정 기능의 이상으로 인해 생기게 됩니다.
이런 문제로 반신마비 환자가 보행시 한쪽으로 자꾸 넘어지는 일이 생기게 됩니다.


인지 기능(cognitive function)의 장애

중풍 환자에서 기억력 감소가 나타납니다.
이것은 반복된 중풍이 있는 경우 더욱 심하게 나타납니다.
뇌기능이 감소하면서 한쪽 방향의 신체나 사물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며, 공간적인 조형 능력이 약해져 옷을 입거나 입체적인 물체를 만들지 못하기도 합니다.


인지 기능(cognitive function)의 장애

중풍 환자에서 기억력 감소가 나타납니다.
이것은 반복된 중풍이 있는 경우 더욱 심하게 나타납니다.
뇌기능이 감소하면서 한쪽 방향의 신체나 사물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며, 공간적인 조형 능력이 약해져 옷을 입거나 입체적인 물체를 만들지 못하기도 합니다.


안면 신경(cranial nerve)의 장애

반신마비 환자에서 시야 결손, 동안 신경의 마비가 올 수 있습니다.
또한 삼키는 기능의 저하(dysphagia)가 올 수 있지만 이것은 전신마비 환자에서 더욱 흔하게 나타납니다.

또한 어지럼증, 졸도, 청각 소실, 이명, 복시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안면 신경의 신경원이 있는 뇌간(brain stem)의 손상이 있는 경우에 잘 생기게 됩니다.

중풍(stroke)의 분류

중풍은 뇌혈관의 병변으로 뇌조직에 산소 공급이 원활히 되지않아 뇌조직의 괴사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이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눕니다.


허혈성 중풍

허혈성 중풍은 혈관이 막히는 경우에 생기게 됩니다.
이는 다시 혈전(thrombosis)에 의한 중풍, 색전(embolism)에 의한 중풍, 열공성 중풍(lacunar stroke)으로 구분됩니다.
여기에 일과성 뇌허혈 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s)이 포함되기도 합니다.


출혈성 중풍

출혈성 중풍은 뇌실질내 출혈과 지주막하 출혈에 의한 것이 있습니다.

치료

중풍의 재활치료는 내과적인 문제에 대한 약물치료, 보조기처방,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심리치료, 오락치료, 직업 재활 등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치료입니다.

이는 중풍의 증상이 운동 기능이나 일상 생활 동작의 장애뿐만이 아니고 실어증이나 우울증, 행동 장애, 정서 장애와 같은 심리적인 장애가 동반되며, 이런 문제로 환자의 사회 생활의 장애가 생기게 되어 회복 후 직장이나 가정으로의 복귀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중풍 환자의 치료는 포괄적인 재활치료가 되어야 하며 가족이나 친인척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도움이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치료를 통해 퇴원 후 가정과 사회에 성공적으로 복귀하고 양질의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알콜성 지방간  (0) 2018.03.13
수막구균 예방접종  (0) 2018.03.12
A형간염  (0) 2018.03.09
소아 당뇨병  (0) 2018.03.07
치아우식증  (0) 2018.03.06
:
Posted by 건강텔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