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4/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2016. 10. 20. 14:43

유행성출혈열 질병정보2016. 10. 20. 14:43

유행성출혈열(신증후출혈열)은 Hantaan Virus, Seoul Virus등에 의한 급성열성감염증으로 발열, 출혈, 신장병변이 특징이다.

늦가을(10∼11월)과 늦봄(5∼6월) 건조기에 들쥐의 배설물이 건조되면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며, 잠복기는 평균 2∼3주 정도이다.

환자를 격리할 필요는 없으며, 예방접종 백신이 있다.

환자가 집단적으로 발생되는 일은 없으며, 감염 후에는 항체가 생기고 항체는 수 십년 후까지 유지되어 재감염 되지는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는 1951년 이후 매년 수백명 정도의 환자가 신고되고 있고 치명률도 7%정도로 높다.


감염 및 전파경로

들쥐의 배설물이 건조되면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다고 추정되며, 늦가을(10∼11월)과 늦봄(5∼6월)건조기에 많이 발생하며, 환자가 집단적으로 발생되는 일은 없다.

감염기회가 많은 젊은 연령층 남자가 잘 감염된다.

유행성출혈열의 잠복기는 9∼35일 정도로 평균 약2∼3주 정도이다.


증상

발열, 출혈, 신장 병변이 특징이며, 임상 경과로는 5기로 나눌 수 있다.(발열기, 저혈압기, 핍뇨기, 이뇨기, 회복기)


진단 및 치료

병력, 임상 증상, 검사 소견, 병의 경과로 추정 진단이 가능하며, 혈청학적으로 확진이 가능하다.

치료를 위한 특이요법은 없고 임상경과시기별로 적절한 대중요법을 실시한다.

치료에 앞서 출혈이나 쇽(shock)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절대안정이 필요하다.


관리 및 예방

유행성출혈열 환자는 격리시킬 필요가 없다.

다발지역에 접근하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며, 예방접종 백신이 있다.

특히 들쥐의 배설물에 접촉하지 말고, 늦가을(10∼11월)과 늦봄(5∼6월) 건조기에는 잔디 위에 눕거나 잠을 자지 말아야 한다.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섬유종증  (0) 2016.10.21
렙토스피라증  (0) 2016.10.20
소아 천식  (0) 2016.10.18
좌골신경통  (0) 2016.10.17
백내장  (0) 2016.10.14
:
Posted by 건강텔링